우롱차 향미별 차이: 청향, 밀향, 화향, 과향
우롱차는 녹차와 홍차의 중간 단계인 반발효차로, 발효도와 배전 방식에 따라 매우 다양한 향과 맛을 갖습니다. 특히 전문가들 사이에서 우롱차는 단순히 "한 가지 향"으로 설명할 수 없는, 향미의 미학이 집약된 차로 알려져 있습니다. 전통적으로는 청향(清香), 밀향(蜜香), 화향(花香), 과향(果香)으로 분류되며, 각각의 향은 차의 품종, 재배 지역, 발효 및 배전 방식에 따라 뚜렷하게 구분됩니다. 이 글에서는 우롱차를 향미 기준으로 정통 분류한 4가지 타입을 중심으로 그 맛의 차이를 세밀하게 비교 분석해 보겠습니다. 청향, 맑고 깨끗한 첫인상, 고산차의 정수청향(清香)은 직역하면 ‘맑은 향’이라는 뜻으로, 이름 그대로 매우 산뜻하고 깨끗한 향을 지닌 우롱차 계열입니다. 주로 대만 고산 지역에서 생산되는 ..
2025. 7. 17.
전통 차도구 1편: 개완, 공도배, 차총
전통 다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차를 우려내고 따르는 데 사용하는 다양한 차도구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기본이 되는 ‘개완’, ‘공도배’, ‘차총’는 찻자리의 품격을 높이는 핵심 아이템입니다. 각각의 도구는 단순한 기능을 넘어 차를 대하는 태도와 정성을 담아내며, 다도라는 문화의 깊이를 보여줍니다. 이 글에서는 이 세 가지 도구의 역할과 의미, 그리고 찻자리에 담긴 철학까지 함께 살펴보며, 다도 입문자와 차를 사랑하는 이들에게 유익한 길잡이가 되어드립니다. 개완: 찻잎과 물의 조화를 만드는 도구개완은 찻잎을 우려내는 가장 전통적인 차도구로, 뚜껑, 몸체, 받침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개완은 중국 명나라 시절부터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찻잎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넓은 공..
2025. 7. 15.